전략 패턴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전략 패턴이란
- 전략 패턴에 참여하는 객체는 클라이언트, 컨텍스트, 전략이다.
- 바뀌지 않는 부분은 컨텍스트,바뀌는 부분은 전략으로 만든다.
- 컨텍스트는 전략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게 하고, 런타임에 컨텍스트에 전략 구현체를 주입하여, 컨텍스트가 전략을 실행하게 한다.
- 요약하면, 컨텍스트에서 런타임에 전략을 주입받아 실행하는 것이 전략 패턴이다.
GoF 디자인 패턴에서의 전략 패턴 정의
- 동일 계열의 알고리즘 군을 정의하고, 각각의 알고리즘을 캡슐화하여, 이들이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만든다.
-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와 독립적으로 알고리즘을 동적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코드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패턴이다.
// 전략(변경되는 알고리즘)
interface Strategy {
void operation();
}
interface StrategyImplA implements Strategy {
public void operation(){};
}
interface StrategyImplB implements Strategy {
public void operation(){};
}
// 컨텍스트(전략을 사용하는 객체)
class Context {
private Strategy strategy;
public void setStrategy(Strategy strategy) {
this.strategy = strategy;
}
public void invoke() {
strategy.operation();
}
}
// 클라이언트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text context = new Context(); // 1. 컨텍스트 생성
context.setStrategy(new StrategyImplA()); // 2. 전략 주입
context.invoke(); // 3. 전략 실행
}
}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
정의에서 봤듯이, 바뀌는 부분과 바뀌지 않는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될 때 전략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좀 더 구체적인 상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알고리즘이 런타임에 교체될 필요가 있을때
- 알고리즘이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데이터에 액세스 하거나 데이터를 활용할 때 (캡슐화)
런타임에 알고리즘을 바꿔서 실행해야할 때
필자는 좀 더 넓은 의미에서 전략 패턴에 대해서 예시를 들고자 한다. 해당 예시는 정의에 부합하는 예시는 아니다.
하지만, 전략 패턴의 핵심에 부합하는 좋은 예시라고 생각해서 가져왔다. 집중해서 봐야할 부분은 바뀌는 부분(전략)을 런타임에 바꿔서 컨텍스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위 사진은 블라인드(직장인 커뮤니티) 웹 메인 페이지이고, 카테고리 별로 게시글을 보여준다.
바뀌는 부분과 바뀌지 않는 부분은 아래와 같을 것이다 (구체적인 내부 API 로직은 차치하자)
- 바뀌는 부분(전략) = SQL
- 바뀌지 않는 부분(컨텍스트) = 게시글을 가져오는 로직
게시글을 저장소에서 가져오는 로직을 3-레이어 아키텍처로 간단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SELECT *
FROM posts
WHERE category = #Strategy (eg. '아시안컵', '연말정산' 등등)
- 클라이언트 = 컨트롤러
- 컨텍스트 = 비즈니스
- 전략 = SQL
요청마다(런타임) 비즈니스 레이어(컨텍스트)에서 SQL(알고리즘)를 바꾸어서 쿼리를 날릴 것이다.
알고리즘을 캡슐화해야할 때
아래 예제는 결제 관련 예제이다.
// 결제 전략 인터페이스
public interface PaymentStrategy {
void processPayment(double amount);
}
// 신용카드 결제 전략
public class CreditCardStrategy implements Payment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processPayment(double amount) {
// 신용카드 결제 처리 로직
}
}
// PayPal 결제 전략
public class PayPalStrategy implements PaymentStrategy {
@Override
public void processPayment(double amount) {
// PayPal 결제 처리 로직
}
}
// 결제를 처리하는 컨텍스트 클래스
public class PaymentContext {
private PaymentStrategy strategy;
public void setPaymentStrategy(PaymentStrategy strategy) {
this.strategy = strategy;
}
public void processPayment(double amount) {
strategy.processPayment(amount);
}
}
// 클라이언트
public class Payment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ymentContext context = new PaymentContext();
// 신용카드로 결제
context.setPaymentStrategy(new CreditCardStrategy());
context.processPayment(100.0);
// PayPal로 결제 방식 변경
context.setPaymentStrategy(new PayPalStrategy());
context.processPayment(200.0);
}
}
결제 모듈을 고객사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위와 같이 고객사에게 결제 로직을 코드를 캡슐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어떻게 사용해야할까?
전략 패턴을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다.
- 전략과 컨텍스트를 구분한다.
- 전략 인터페이스를 만든다.
- 전략 구현체를 만든다.
- 클라이언트에서 런타임에 컨텍스트에 전략을 주입한다.
전략 패턴 사용 고민 상황
아래와 같은 고민이 들 수 있다.
- 전략 패턴 구현체(알고리즘)이 엄청나게 많다면 전략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 알고리즘이 많지 않고 자주 변경되지 않아도 매번 새로운 구현체를 생성하는게 좋을까?
알고리즘이 많다면 시스템 복잡도를 높이고 유지보수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팩토리 패턴과 같은 다른 디자인 패턴을 결합해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보면 좋다. 객체 생성을 캡슐화하여, 생성 로직을 한 곳에서 관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새로운 전략이 추가되더라도, 생성 로직만 수정하면 된다.
// 팩토리 패턴
public class PaymentFactory {
private HashMap<String, PaymentStrategy> strategies;
public PaymentFactory() {
strategies = new HashMap<>();
strategies.put("credit", new CreditCardStrategy());
strategies.put("paypal", new PayPalStrategy());
}
public PaymentStrategy getPaymentStrategy(String type) {
return strategies.get(type);
}
}
알고리즘이 많지 않고 자주 변경되지 않는다면 전략 패턴 도입이 오히려 복잡도를 높일 수 있다. 전략 패턴 대신에 조건문을 사용하거나 싱글톤을 통해 다양한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public class PaymentProcessor {
public void processPayment(String paymentType, double amount) {
if (paymentType.equals("CREDIT_CARD")) {
processCreditCardPayment(amount);
} else if (paymentType.equals("PAYPAL")) {
processPayPalPayment(amount);
} else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Unknown payment type");
}
}
private void processCreditCardPayment(double amount) {
// 신용카드 결제 처리 로직
System.out.println("Processing credit card payment: " + amount);
}
private void processPayPalPayment(double amount) {
// PayPal 결제 처리 로직
System.out.println("Processing PayPal payment: " + amount);
}
}
오픈 소스에서 사용되는 전략 패턴
Java
java.util.Comparator
인터페이스는 전략 패턴을 사용한다.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
list.add("A");
list.add("C");
list.add("B");
// 정렬 전략을 주입
list.sort(new Comparator<String>() {
@Override
public int compare(String o1, String o2) {
return o1.compareTo(o2);
}
});
System.out.println(list); // [A, B, C]
}
}
Spring Security
ProviderManager
(컨텍스트)는 AuthenticationProvider
(전략)를 사용하여 인증을 처리한다.
생성자로 providers
를 주입받고, providers
를 순회하면서 authenticate
를 호출한다.
전략 패턴과 다른 디자인 패턴과의 차이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의 차이
- 전략 패턴은 합성,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상속을 통해 알고리즘을 변경한다.
- 전략 패턴은 인터페이스 합성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는 반면, 템플릿 메서드 패턴에서는 부모/자식 관계이기 때문에 더 밀접하게 결합한다.
- 전략 패턴은 알고리즘 전체를 교체할 수 있지만,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알고리즘의 일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
단일 상속만을 지원하는 자바에서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상속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고, 컨텍스트에서 다양한 전략이 필요로 하다면 인터페이스 합성을 통해 전략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템플릿 콜백 패턴과의 차이
전략 패턴은 별도의 전략 클래스가 필요하지만, 템플릿 콜백 패턴은 별도의 구현체가 필요하지 않다. 전략을 사용하는 메서드에 매개변수 값으로 전략 로직을 넘겨 주기만 하면된다.
전략 패턴 예시
// 전략
interface Strategy {
int operation(int x, int y);
}
class ConcreteStrategyA implements Strategy {
public void operation(int x, int y) {
return x + y;
}
}
class ConcreteStrategyB implements Strategy {
public void operation(int x, int y) {
return x - y;
}
}
// 컨텍스트
class Context {
public int executeStrategy(Strategy strategy, int x, int y) {
return strategy.operation(x, y);
}
}
// 클라이언트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text context = new Context();
context.executeStrategy(new ConcreteStrategyA(), 3, 4); // 7
context.executeStrategy(new ConcreteStrategyB(), 3, 4); // -1
}
}
템플릿 콜백 패턴 예시
// 콜백
interface Callback {
int execute(int x, int y);
}
// 템플릿
class Template {
public int execute(Callback callback, int x, int y) {
return callback.execute(x, y);
}
}
// 클라이언트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mplate template = new Template();
template.execute((x, y) -> x + y, 3, 4); // 7
template.execute((x, y) -> x - y, 3, 4); // -1
}
}
참고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935358
- https://kdohyeon.tistory.com/45
- https://minjoon950425.tistory.com/210
-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10-04-strategy-command-pattern/
- https://inpa.tistory.com/entry/GOF-%F0%9F%92%A0-%EC%A0%84%EB%9E%B5Strategy-%ED%8C%A8%ED%84%B4-%EC%A0%9C%EB%8C%80%EB%A1%9C-%EB%B0%B0%EC%9B%8C%EB%B3%B4%EC%9E%90
- https://inpa.tistory.com/entry/GOF-%F0%9F%92%A0-Template-Callback-%EB%B3%80%ED%98%95-%ED%8C%A8%ED%84%B4-%EC%95%8C%EC%95%84%EB%B3%B4%EA%B8%B0
-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templete-method-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