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Transactional이 달린 메서드에서 같은 트랜잭션에서 동작하는 다른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고, 그 메서드에서 발생시키는 RuntimeException 예외를 잡았는데, 롤백이 되는 것을 보았다. 예외를 잡으면 롤백이 되지 않아야 하지 않나? 라고 생각했었다. 이슈에 대한 여러 글을 찾아보았고, 그 내용을 정리하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동기화되는 트랜잭션에 대해서 롤백 마킹이 되는 과정과 롤백 마킹이 되었을 때 발생하는 예외에 대해서 디버깅하면서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롤백 마킹을 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우선 롤백 마킹 처리에 앞서 스프링 트랜잭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자.




스프링 트랜잭션

Screenshot 2024-02-02 at 01 21 26

위 그림을 보면 트랜잭션이 시작되고 종료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트랜잭션을 담당하는 핵심 인터페이스는 PlatformTransactionManager이다. PlatformTransactionManagercommit 메서드와 rollback 메서드에 따라 트랜잭션의 커밋과 롤백이 결정된다. 코드와 함께 해당 인터페이스를 하술하겠다.


스프링은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싶은 클래스나 메서드에 @Transactional을 달면 위에 그림처럼 트랜잭션을 처리해준다.

간단하게 @Transactional의 속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공식 문서를 참고하였다.

Screenshot 2024-01-19 at 01 58 23

@Transactional은 기본적으로 RuntimeException을 롤백 대상으로 삼는다.


Screenshot 2024-01-19 at 01 56 13

Screenshot 2024-01-19 at 01 56 03

@Transactional의 기본 전파(propagation)는 REQUIRED이다. 트랜잭션이 없으면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이 있으면 기존 트랜잭션에 참여한다.




트랜잭션 롤백 마크 과정

디버깅을 통해서 트랜잭션 롤백 마크 과정을 알아볼 것이다. 예제 코드는 아래와 같다.


예제 코드

@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OuterService outerService;

    public TestController(OuterService outerService) {
        this.outerService = outerService;
    }

    @GetMapping("/test")
    public ResponseEntity<String> test() {
        outerService.outerMethod();
        return ResponseEntity.ok("pass");
    }
}

@Service
@Transactional
public class OuterService {

    private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OuterService.class);
    private final InnerService innerService;

    public OuterService(InnerService innerService) {
        this.innerService = innerService;
    }

    public void outerMethod() {
        try {
            innerService.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
        } catch (RuntimeException exception) {
            logger.warn("OuterService caught exception: {}", exception.getMessage());
        }
    }
}

@Service
@Transactional
public class InnerService {

    private final PersonRepository personRepository;

    public InnerService(PersonRepository personRepository) {
        this.personRepository = personRepository;
    }

    public void 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 {
        personRepository.save(new PersonEntity("name"));
        throw new RuntimeException("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
    }
}

TestController에서 OuterService.outerMethod를 호출하면 InnerService.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에서 발생시킨 RuntimeException을 잡아서 로그를 남긴다. 예상대로라면 outerMethod에서 RuntimeException을 잡았기 때문에 롤백이 되지 않고 정상 응답(hello)을 해야한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롤백 처리가 된다.

Screenshot 2024-02-02 at 01 27 03@2x

로그를 보면 UnexpectedRollbackException 예외가 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에서 터졌다. (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PlatformTransactionManager의 구현체이다.)


롤백 마크 과정

Screenshot 2024-02-02 at 12 24 59@2x

전반적인 흐름은 위 그림과 같다. 호출되는 트랜잭션에서 다른 트랜잭션으로 시작하지 않는 이상 같은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롤백 마킹이 되면 다음 호출되는 트랜잭션에서도 롤백 마킹이 된다.


1. TransactionAspectSupport.invokeWithinTransaction

아래 코드를 보면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AspectSupportinvokeWithinTransaction 메서드에서 invocation(InnerService.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을 실행하고, 예외를 잡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TransactionAspectSupport에서 실제 객체인 invocation을 실행하고, 예외가 발생하면 예외를 잡아서 롤백 처리를 한다.

Screenshot 2024-02-02 at 01 38 05@2x

Screenshot 2024-02-02 at 01 39 41@2x

invocation은 내부 메서드인 InnerService.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이고, TransactionManager.rollback를 호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 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rollback

Screenshot 2024-02-02 at 01 42 59@2x

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rollback 메서드를 보면 트랜잭션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한 후, 내부 메서드인 processRollback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processRollback 메서드에서 transactionStatussetRollbackOnly로 아래와 같이 마킹한다.

Screenshot 2024-02-02 at 01 58 44


3. JpaTransactionManager.doSetRollbackOnly

마크 처리가 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하게 보자. 필자의 경우 JPA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JpaTransactionManager가 호출된다.

Screenshot 2024-02-02 at 02 05 46


4. JpaTransactionManager.setRollbackOnly

Screenshot 2024-02-02 at 02 08 40

JPAentity manager가 관리하는 transaction(TranscationImpl)에 롤백 마킹을 한다.


5. TransactionImpl.setRollbackOnly

Screenshot 2024-02-02 at 02 12 43@2x

트랜잭션 AOP 유틸 클래스에서 JPA 엔티티 매니저가 관리하는 트랜잭션에 롤백 마크 처리가 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이제 OuterService에서 RuntimeException을 잡아도 롤백이 되는 이유를 알아보자.



롤백 마크 되었을 때 예외가 발생하는 이유

outerMethod에서는 RuntimeException을 잡았는데, 왜 예외가 발생할까?


1. TransactionStatus.isGlobalRollbackOnly

우선 outerMethod는 예외를 잡아서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processCommit 메서드가 호출된다.

Screenshot 2024-02-02 at 02 17 29@2x

하지만 내부에서 TransactionStatus가 롤백 마크되었는지 체크하는 코드를 볼 수 있다. 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에서 발생시킨 RuntimeException을 잡아서 롤백 마킹을 했기 때문에 이미 TransactionStatus가 롤백 마크 되었다.


2. DefaultTransactionStatus.isGlobalRollbackOnly

공유되는 트랜잭션 상태에서 rollbackOnly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Screenshot 2024-02-02 at 02 20 05@2x


3. JpaTransactionManager.isRollbackOnly

InnerService.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에서 발생시킨 RuntimeException을 잡아서 롤백 마킹을 했기 때문에 isRollbackOnlytrue를 반환한다.

Screenshot 2024-02-02 at 02 20 39@2x


4. UnexpectedRollbackException

Screenshot 2024-02-02 at 02 26 05@2x

롤백 마킹이 되었기 때문에 UnexpectedRollback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


요약

디버깅을 통해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같은 트랜잭션에서 동작하는 객체들은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각 객체에서 발생한 예외는 AOP에서 예외로 잡아서 롤백 마킹을 한다. 그래서 트랜잭션에 참여하는 객체가 커밋이 되는 정상 코드일지라도, 전에 트랜잭션에 참여했던 다른 객체에 의해 롤백 마킹이 되었다면 UnexpectedRollback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




롤백 마크 우회하기

예상과는 다르게 롤백 마킹이 되었기 때문에 UnexpectedRollbackException 예외가 발생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내가 예상한대로 롤백 마킹이 되지 않게 할 수 있을까?

핵심은 같은 트랜잭션에서 사용하는 TransactionStatus가 롤백 마킹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1. 호출되는 메서드가 트랜잭션에 참여하지 않도록 한다.

가장 간단하게는 같은 트랜잭션에서 동작하는 클래스가 외부 메서드의 트랜잭션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2. 호출되는 메서드가 예외 처리를 하도록 한다.

호출되는 메서드에서 예외를 잡아서 처리하면 롤백 마킹이 되지 않을 것이다.

@Service
@Transactional
public class InnerService {

    private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InnerService.class);
    private final PersonRepository personRepository;

    public InnerService(PersonRepository personRepository) {
        this.personRepository = personRepository;
    }

    public void 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 {
        personRepository.save(new PersonEntity("name"));
        try {
            throw new RuntimeException("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
        } catch (RuntimeException ex) {
            logger.warn("InnerService caught exception: {}", ex.getMessage());
        }
    }
}

이런 식으로 처리하면 롤백 마킹 처리가 되지 않는다.


3. 호출되는 메서드가 새로운 트랜잭션으로 시작한다.

호출되는 메서드가 트랜잭션 전파 설정을 다르게 하면 롤백 마킹이 되지 않을 것이다.

@Service
public class InnerService {

    private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InnerService.class);
    private final PersonRepository personRepository;

    public InnerService(PersonRepository personRepository) {
        this.personRepository = personRepository;
    }

    @Transactional(Transactional.TxType.REQUIRES_NEW)
    public void 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 {
        personRepository.save(new PersonEntity("name"));
        throw new RuntimeException("innerMethodThrowingRuntimeException");
    }
}




결론

  • 스프링 트랜잭션은 TransactionStatus를 통해 트랜잭션의 상태(rollbackMark)를 관리한다.
  • 같은 트랜잭션에 속하더라도 프록시 객체로 호출되기 때문에 작업은 각각 완료된다. 즉 외부에서 프록시 객체를 호출될 때마다 TransactionAspectSupport에서 실제 객체를 호출한다.
  • 롤백 마킹을 우회하려면 트랜잭션 내에서 롤백 마킹이 되지 않도록 하거나, 다른 트랜잭션에서 동작하도록 하여야 한다.




필자의 생각

왜 같은 트랜잭션에 롤백 마킹이 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만들었을까?

정말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트랜잭션의 특성인 원자성을 보장하기 위함인 것 같다. 같은 트랜잭션(작업 셋)에 속하면 All or Nothing을 보장해줘야 하는데, 롤백 마킹이 되었다는 것은 작업 셋 중 일부가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DB에서 트랜잭션을 시작했을 때 중간에 예외가 발생하는 SQL이 있다면 트랜잭션을 롤백하는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코드에서 동작하는 것도 동일하게 생각하면 될 것 같다.




Ref

  • 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setGlobalRollbackOnParticipationFailure
  •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javadoc-api/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html
  •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data-access/transaction/strategies.html
  • https://techblog.woowahan.com/2606/
  • https://velog.io/@eastperson/Transactional-%EC%83%81%ED%99%A9%EB%B3%84-commit-rollback-%EC%A0%84%EB%9E%B5